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반응형
독일의 산업통제보안 연구진은 최근 Stuxnet 컴퓨터 바이러스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Stuxnet 바이러스는 이란의 핵시설 공장을 파괴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산업용 제어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는 독일 Siemens社의 컴퓨터를 공격대상으로 삼은 이번 웜 바이러스는 2010년 7월 최초로 보고되었고 당시 전 세계 대규모 주요 공장의 제어시스템을 구동하는 콘트롤 PC를 대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윈도우의 바로가기 파일의 취약점을 악용, 바이러스 유포의 주범으로 알려져있었다.

Stuxnet 바이러스가 윈도우 OS환경에서 3가지 취약성을 위주로 전염되고 구동된다는 사실을 인지한 보안전문가들은 이 중 한 가지에 대해 보안패치를 업데이트 하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까지 내려진 조치인 셈이다.

가 장 많은 감염 빈도를 보인 이란 남서부의 부시르 지역에서는 이번 웜 바이러스 때문에 핵시설 공장 도입이 늦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는데, 9월 21일 열린 `산업제어시스템 사이버보안` 콘퍼런스에서 이번 Stuxnet 바이러스의 코드분석을 발표하며 이란의 핵시설이 바이러스의 주요 목표였다고 역설했다. [발표문: http://www.langner.com/en/index.htm] Langer씨가 분석한 코드자료에 의하면 부시르의 핵시설 공장이 UPI 스크린샷을 예로 들며 지멘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는 해당 공장 제어시스템에 문제가 생긴 점을 대중에 공표하였다.

이러한 공격이 가능한 원인으로는 풍부한 핵시설 공장에 대한 지식을 갖춘 해커의 인위적이고 직접적인 공격이 이번 웜 바이러스 유포의 목적인 것으로 예상되며, 여기에는 제로데이 취약성 공격방식을 포함해 인증서 탈취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기도 하였다고 한다.

다양한 해킹 기법들이 하나의 웜 바이러스 코드에 내장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개인의 소행이 아닌 전문가 집단의 소행으로 보이며 특정 산업제어시스템을 노린 전문가 집단의 공격으로 보이며, 이를 감안해 볼 때 단순 재미나 악취미로 저질러진 일이 아닌 국가 단위의 공격의 이루어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여 산업계의 파장이 예상되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물론 Langer씨는 특정 국가의 인위적인 사이버공격이라는 주장에 대한 명확한 근거는 현재까지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하 지만 이번 산업제어시스템 보안에 참석한 여러 전문가들 또한 Langer씨의 주장에 대해 많은 충격을 받은 상황이며 이번 특정 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웜 바이러스 코드분석을 통해 향후 산업체 사이버보안 전문가들이 취해야 할 보안태세에 대한 경각심을 충분히 일깨워 준 것으로 보여, 앞으로 보다 발빠른 대책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으로 보인다.
출처 : http://news.cnet.com/8301-27080_3-20017201-245.html


KISTI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2010-09-28

반응형
:
Posted by 째시기
반응형
3G Americas가 모바일 무선 기술들의 진화에 대한 유용한 보고서를 출간했는데, 이 보고서는 4G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현존 기술은 없다고 지적한다. 또한 보고서는 무선 시스템으로부터 훨썬 더 많은 대역폭을 추출하는데 있어 문제점들을 강조한다.

"Transition to 4G: 3GPP Broadband Evolution to IMT-Advanced" 보고서는 Rysavy Research의 회장인 Peter Rysavy가 3G Americas-미국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와 밴더를 대표하는 단체-를 위해 집필하였다. 이 보고서는 주요 결과물이 요약된 아주 이해하기 좋은 부록 (83장의 슬라이드)와 같이 제공된다.

보고서는 "어떤 기술이 어떠한 이동 통신 세대에 속하는지에 대해서 산업계에 혼란이 있다"라고 언급한다. 보고서는 "3G 요구사항들은 International Mobile Telephone 2000 (IMT-2000) 프로젝트의 일부로 ITU의 의해 정리되었는데, 이는 이동 속도에서 144kbps, 보행중에는 384kbps, 실내환경에서는 2Mbps의 속도를 제공해야하는 디지털 네트워크가 바로 그것이다"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보고서는 "비록 최근 WiMAX도 공식적인 3G 기술로 지정되었지만, UMTS-HSPA와 CDMA2000 EV-DO가 주요한 3G 기술들이다. 3G 기술들은 지난 10년전부터 도입되기 시작했다"라고 말한다.

4G 에 대하여 보고서는 "ITU는 최근 IMT-Advanced를 위한 요구사항들을 발표했는데, 이는 4G의 공식적인 정의를 제정한 것이다. 요구사항들은 최대 40MHz 무선 채널에서의 동작과 극도로 높은 주파수 효율성을 포함한다. ITU는 최대 100MHz 무선 채널에서의 동작과 최대 주파수 효율성 15bps/Hz를 권고하는데, 이는 이론적으로 1.5Gbps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요구사항들이 발표되기 이전에는 1Gbps가 주로 4G의 목표로 인용되었다"라고 말한다.

보고서는 "어떠한 기술도 이러한 요구조건들을 아직까지 만족하지 못한다. LTE-Advanced와 IEEE 802.16m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을 필요로 한다"라고 의미심장하게 주장한다.

WiMAX 와 HSPA를 `4G`로 인용하는 널리 퍼진 습관에 대해 보고서는 이러한 기술들이 3G의 최소 요구사항을 크게 능가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기술들을 3G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기술들이 현재의 기술들을 용량면에서 넘어신 세대이기 때문에 분명 완벽한 설명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이 기술들을 4G라 부르는 것은 정확하지 않은 것이다. 불행히도, 세대 구분은 현재 이용 가능한 기술들의 단면을 적절히 구분하지 못하고 시장에서의 혼란을 만들어냈다."

이용가능한 4G 기술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아직 어떤것도 완벽히 정리되지 않았다. 보고서는 "3GPP는 4G IMT Advanced의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LTE를 강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당한 진보를 이룩했다. 이론적으로 최대 1Gbps를 지원하는 LTE-Advanced의 규격은 2011년 3월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LTE-Advance를 ITU IMT-Advanced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정의된 최초의 기술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라고 보고서는 말한다.

보고서는 또한 무선 기술들로부터 더 많은 대역폭을 뽑아내는데 있어 연구원들이 직면한 문제점들도 강조한다. 보고서는 "HSDPA, 1xEV-DO, IEEE 802.16e-2005(WiMAX) 모두 매우 최적화된 링크, 즉 물리 계층을 가진다. 사실 이러한 기술들의 링크 계층 성능은 샤논의 법칙에 의해 정의된 이론적인 한계에 접근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샤논의 법칙은 특정 통신 링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대역폭당 정보 전송 속도의 이론적 제약이다. 이러한 제약은 통신 링크의 신호대 잡음비의 함수이다.)

"HSDPA, 1xEV-DO, IEEE 802.16e-2005 은 모두 샤논의 한계에 2~3 dB 내에 있는데, 이는 링크 계층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 고서는 미래의 개선들은 지능형 안테나/다중 안테나 시스템 또는 섹터와 셀들간의 간섭 조화/상쇄를 통한 간섭 최소화에 의한 신호대 잡음비 개선 기술로부터 올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러한 것들은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고 다수의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데 각각의 용량은 샤논의 법칙의 의해 제약을 받지만 전체적으로는 샤논의 한계를 훨씬 넘어서는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반응형
:
Posted by 째시기
반응형
실리콘 칩에 내장된 광학기기는 지금까지 칩에서 가장 느린 빛을 전달하는데 성공했으며, 속도를 1,200배 정도 감소시켰다. 통합된 칩기반의 플랫폼에서 광펄스를 제어하는 것은 초저전력 성능을 잠재력으로 개선하기 위한 모든 광학 양자통신 네트워크를 실현하는 중요한 단계가 된다.

캘리포니아 전기공학과 Holger Schmidt교수와 UC Santa Cruz, Brigham Young대학의 연구팀이 이 기기를 개발하였다. 느린 빛과 다른 양자 일관성 효과들은 잘 알려져 있지만, 그것들을 실용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것이 대량생산될 수 있는 플랫폼에서 적용해야만하며, 실온이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 동작시켜야한다. 그래서 이 칩은 그러한 조건에서 성공을 이루었다고 Schmidt가 말했다.

광섬유는 데이터를 광속으로 전달하지만, 라우팅과 데이터 처리작업은 여전히 광신호를 전기신호를 변화해야만 한다. 모든 광데이터 처리시스템은 광펄스를 느리게 하고, 저장하며 처리할 수 있는 소형이며, 안정적인 기기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가장 단순한 사례는 사용될 수 있는 느린 광신호가 광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버퍼나 신호지연을 조정할 수 있는지 보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통합된 광자칩 내에서 그 이상을 예상하고 있다.’ 라고 Schmidt가 덧붙였다.

이 기기는 표준제조기술을 사용하여 실리콘 칩에 만들어진 할로우 코어(hollow-core) 광학 도파관 내부에 있는 류비듐 증기내에서 양자간섭효과에 의존하고 있다. 몇가지 다른 기술들이 빛을 느리게 하거나 심지어는 수백 밀리초 동안 정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예전에는 양자간섭에 기초한 시스템들이 저온의 환경이 필요하거나 또는 실용적인 사용을 위해서 정교한 실험실 설정이 필요했다.

2008년, 일본 NTT연구소의 연구자들은 170배 정도 광펄스를 느리게 할 수 있는 특수 실리콘칩 구조를 개발했다. 광자 크리스탈 도파관(photonic crystal waveguide)이라고 불리는 이것은 몇가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Schmidt 그룹에 의해 개발된 원자 분광학칩에 대해서는 양자효과 만들지 못한다.

이 러한 양자효과는 빛을 느리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과 양자컴퓨팅 및 양자통신시스템을 위해 근본적으로 새로운 양자기기들의 가능성을 만들어주는 물질들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이 시스템은 이 효과를 쉽게 있고, 없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빛의 속도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 레이저의 전원을 변경하기 위해서, 우리는 단지 파워 제어 노브를 돌려서 빛의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라고 그가 말했다. 제어 레이저는 할로우 코어 도파관에서 루비듐 증기의 광학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와 신호라는 두 레이저의 행동을 결합시킴으로서, 루비듐 원자내의 전자들은 두 양자상태의 일관된 중첩으로 이동해가게 된다. 양자물리 상태에서, 그것들은 동시에 다른 두 개의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하나는 전자기적으로 유도된 투명성으로서 느린 빛을 만들어내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루비듐 증기는 신호레이저로부터 빛을 흡수한다. 그래서 아무것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그때, 제어 레이저가 켜지고, 서로 충돌하게 되면, 이 물질은 투명하게 된다. 그래서 신호펄스가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느리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라고 Schmidt가 말했다. 이 연구는 전자기적으로 유도된 투명성을 보여준 첫 번째 시연이며, 완전히 독립적인 원자 분광학칩에서 느린 빛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느린 빛에서 비선형적인 광학효과를 보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모든 광학스위치, 단일광자 탐지기, 양자메모리 기기 및 다른 재미있는 가능성들을 만들기 위해서 이것을 잠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라고 Schmidt가 덧붙였다.
출처 : http://www.theengineer.co.uk/news/optical-device-achieves-slowest-light-propagation/1004738.article

KISTI 미리안글로벌동향브리핑2010-09-13

반응형
:
Posted by 째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