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반응형
1. USB 인식가능 상태로 복구
Proxmark3 펌웨어 업하다가, 실패하면 USB를 통해서 Proxmark3 를 인식할 수 없습니다.
이때 JTAG 커넥터를 이용하여 20Pin 케이블 <-> LPT1 포트 형태로 접속해야 합니다.
(저는 ARM-JTAG 라는 제품을 이용하였습니다. deviceMart 에서 1.5만원에 판매중)

ARM-JTAG를 이용하여 Proxmark 3와 PC 를 연결하고,
Win32-parallel-port-driver-95nt.exe 를 실행하여
DLPortIO 를 인스톨 합니다. (Parallel 포트를 이용하여, PC와 접속할 수 있는 드라이버)
그리고 Proxmark3 이미지를 새로 집어넣기 위해서
ArmPgm-Win32 를 실행합니다.
(이때 Proxmark3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USB 포트도 함께 연결 하고 있어야 함!)

Target HW : SAM7X256-16-to-48MHz
Target Interface : Wiggler @ LPT1
S-Record file : 경로\2008.09.17-armpgm-ebuller-proxmark3-image.S19


와 같이 셋팅하고, Check 를 클릭하였을때 하단 상태 창에
"Target interface is OK" 라고 뜨면 연결이 제대로 된 것입니다.
(PC 환경 : 윈도우2000nt 이며, 윈도우XP에서도 잘 동작함.
단,  윈도우7의 경우 DLPortIO를 Load 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 발생. )

Erase -> Program 을 클릭하여 새로 롬파일을 덮어 씌우면 우선 1차 복구 완료! (USB 인식가능 상태)
http://www.proxmark.org/files/index.php?dir=Flash  에서 관련 파일 다운로드 할 수 있음.


2.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
PC에 Proxmark3를 연결하면, Proxmark2 라는 이름? 으로 장치가 설치됨.
다음과 같은 2번의 과정으로 Proxmark3의 구입? 버전인 r52 버전으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음.

1) pm3-20090603-r29 버전으로 업데이트
플래쉬 모드로 장치가 들어가기 위해서는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명령을 한번 실행하고, 다시 실행하면(반복적으로 실행)
...no device connected, polling for it now 라는 메시지와 함께 잠시 프로그램이 홀드 되고
자동으로 flash 모드로 진입하여 부트 영역이 새롭게 라이팅됨

prox bootrom bootrom.s19
prox load osimage.s19
prox bootrom bootrom-merge.s19


그리고 제어판에서 Proxmark2 라는 이름으로 인스톨된 장치를 제거하고, 다시 Proxmark3를 USB 포트에 꼽으면
자동으로 Proxmark3 라는 이름으로 장치가 설치됨. (윈도우7에서는 잘 안될 수 있음. XP 권장)

이후 플래쉬 모드로 들어가려면 Proxmark3의 버튼을 꾹 누르고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을 누르면
빨간 불이 들어오고, 다시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을 누르면 빨간 불+ 주황 불이 같이 들어오면서 펌웨어 업데이트 가능
(이때 계속 버튼을 눌르고 있으면 한꺼번에 3개를 다 업데이트 할 수 있음)

prox fpga fpgaimage.s19

까지 총 4번의 롬파일을 라이팅 하면 r29 버전으로 펌웨어가 업데이트됨

2) pm3-20090713-r52 버전으로 업데이트

prox bootrom bootrom-merge.s19
prox load osimage.s19
prox fpga fpgaimage.s19


와 같이 총 3개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역시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어야함.

3) pm3-20090905-r216 버전으로 업데이트

prox bootrom ..\bootrom\obj\bootrom.elf
prox os ..\armsrc\obj\osimage.elf
prox fpga ..\armsrc\obj\fpgaimage.elf


와 같이 총 3개의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역시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어야함.

4) 이후 버전으로 업데이트

이후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려면 proxmark 의 드라이버를 따로 설치해야 하며,
이렇게 되면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계속 업데이트 가능함.
 (단 하위버전으로 펌웨어 다운그레이드시 장치 드라이버를 삭제해야 장치 인식함!!)
리눅스의 경우도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펌업가능함!
반응형
:
Posted by 째시기
2010. 5. 10. 11:32

10년 5월 - 와인 정모 음료 관련/칵테일과꿈2010. 5. 10. 11:32

반응형

10년 5월 칵꿈 정모의 테마는 "와인" 이였습니다.
총 5가지의 와인을 시음 했으며, 화이트와인1종 -> 레드와인3종 -> 스파클링와인1종 순으로 했습니다.

1) 호주 화이트와인 : 테일러 (Taylors)?? 품종 : 쇼비뇽블랑
로버트파커 가 한국 방문했을때, 한국음식에 가장 어울리는 와인으로 쇼비뇽블랑 품종을 쓴 화이트 와인을 꼽았다죠?
요것도 쇼비뇽블랑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입니다. 목넘김이 상큼~ 하고 경쾌? 한 느낌마져 들더군요 ^^
(요건 사진이 없어서 정확한 이름을 모르겠습니다... 추후 업데이트 예정임~ ^^;;;)

2) 프랑스 레드와인 : 샤마레셀렉션(Chamarre) 품종:시라/메를로
프랑스와인은 자존심? 이 강해서 와인 병에 품종을 안적기로? 유명하다는데, 요즘은 사진처럼 품종이 적혀서 나온다고 합니다.
약간은 맹맹? 한 느낌이 들더군요.


3) 칠레 레드와인 : 라플라야(LaPlaya) 품종:까르네베쇼비뇽
확실이 2번 와인보다 바디감이 있고 조금더 드라이 한 느낌이 듭니다.
(가성비! 로 보면 프랑스 레드와인은 XXX 라는... 모 영화에서 박신양이 그랬죠... "와인은 칠레야~ 프랑스 그거 전쟁때 포도밭 다 불타서 다 가짜야 가짜~" ㅋㅋ)


4) 호주 레드와인 : 테일러스 자라만 쉬라즈 (Taylors Jaraman) - 14.5 도
오크통 숙성이라 그런지 향부터가 급이 다르더군요. 사람의 입은 거짓말은 안하더라는... (도매가 8만원대)
위에 먹은 3가지와 비교 불가! 입니다 ^^


5) 이태리 스파클링와인 : 카세타 모스까또 다스티 (Moscato D'asti Casetta)
빌라M 보다 부드러운? 느낌이였던것 같습니다. 달달하니 요것도 작업주? ㅎㅎ
마지막은 달달한 스파클링으로 마무리~!



사람이 소 한마리는 못먹어도 사람천명이 소 천마리를 먹는다는 말이있지요.
술도 그런것 같습니다. 혼자 와인한병먹기 힘들지만 단체로 마시니 요정도는 가뿐히?비워지네요~ ^__^
(2~30명이서 4병 * 5종류 = 20병 정도는 마신듯~ >_< 나중엔 술이 모자랐다지요? ㅋㅋ)


아! 그리고 와인하면 빠질수 없느 까나페! 도 있었지요.
(셀프 까나페는 거의 안만들어 드시더라는.... ㅋㅋ)

반응형
:
Posted by 째시기
2010. 5. 7. 20:37

2010년 종합소득세 신고 소소한 이야기2010. 5. 7. 20:37

반응형

드디어 제2의 월급(?) 을 받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이 왔습니다!
(저는 소득이 많지 않고, 지출은 많아 냈던 세금을 다시 받더라구요~ ㅋㅋ)

1) 우선 국세청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본인이 사용하신 금액들에 대한 소득공제증빙서류를 발급 받습니다.
http://www.yesone.go.kr

근로소득자 소득공제조회 ->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직업훈련비, 신용카드, 현금연수증, 연금저축/퇴직연금,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 주택자금, 주택마련저축, 장기주식형저축, 기부금

모두 조회를 클릭 한 뒤 -> 조회한 항목 한번에 인쇄를 클릭

2) 국세청 홈택스 접속
http://www.hometax.go.kr

종합소득세 신고 클릭 -> 소득 종류가 더 있는경우 "수정" 클릭 하여 소득종류 체크
-> 종합소득세 신고 창이 뜸 ->

기본사항 -> 소득금액 (소득 종류 클릭) -> 소득금액 불러오기 -> 결손금 체크 -> 공제항목 선택 -> ...
(근로소득 공제 금액을 초과하여? 소득공제를 못받네요... 결국 작년에 아무것도 안썼? 어도 다 환급받는... 뭐 그런건가요? >_<)

프로그램 버그도 있어서 하시다가 이상하면, 완전 처음부터 새로 작성 해야 하더군요... 켁!!!
반응형
:
Posted by 째시기